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A 광고 회사에 근무 중인 한 달 차 신입사원 a양이 고민을 상담해 달라고 문의한 내용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신입사원 a양은 기획과 소통 업무를 하다 보니, 새로운 업무를 맡아 업무 파악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결국 업무가 지연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그 외에도, 최선인가 하는 자기 반성을 하게 되었고, 업무 능력에 자신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사전 보고와 중간 보고를 계속하며 방향을 제대로 설정한 다음 일하려 노력하고, 시간 기록을 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작성하며 업무를 익혀가고 있지만 반복되는 실수로 상담을 요청하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문제가 생기는 이유 3가지를 신입 사원 스스로 복기한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 새로운 업무를 익히는 것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
- 결과물 검토 등 교정 검열에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 점
- 아이디어 토의와 기획 등 업무에서 필요한 창의력이 부족한 점
그러면서 이에 대하여 2가지 고민을 드러냈습니다.
Q) 이런 상황에서 어떤 점을 더 개선해야 현 상황과 문제가 나은 방향으로 이어질까요?
Q) 자기 분석에 문제점이 있는 걸까요?
저는 신입사원 a양의 고민에 대한 조언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드렸습니다.
- 모든 분야에서 업무를 배우는 시간은 필요합니다. 특히, 업무 우선순위를 따지는 기준을 배우는 것에만 어느 분야라도 1년 이상 소요됩니다. 너무 조급히 생각하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해, 업무 자동화 가능성을 찾아보기를 추천합니다. 절대적인 시간을 늘릴 수는 없으므로, 느리면 느린 대로 시간 분배를 잘 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은 자동화 합시다. 또한, 주말에는 교육을 찾아보거나 정보를 찾아 익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일을 잘하고자 하는 욕심이 있다면 유튜브, 블로그, 책, 직무교육 등에서 정보를 찾아 익히시기를 바랍니다. 최근에는 서울디지털재단에서 챗GPT 활용법을 공유했는데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https://sdf.seoul.kr/research-report/2003
- 아이디어 의견을 개진하는 것에 있어 스스로 생성하기가 어렵자면 검색을 하거나 '뤼튼' 같은 생성형AI 서비스를 활용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뤼튼은 카피라이팅AI입니다. AI 활용에 판단 어려움을 느낀다면 현직자와 소통하는 채널을 찾아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이에 아울러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대로 계속 고민하면서 개선하려는 마음가짐으로 2년만 지내면 고민하지 않는 동기들보다 앞설 것이라는 조언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업무 상황에서도 조언을 구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면서 자신의 업무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런 고민이 있는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함께 해결해 나가는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