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2400선 붕괴와 글로벌 경제의 영향"
- "외국인 투자자 이탈과 밸류업 정책의 한계"
- "환율 관찰 대상국 지정과 대외 경제 리스크"
한국 증시가 최근 큰 충격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코스피 지수가 장중 2400선 아래로 내려가며 8월의 ‘블랙 먼데이’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코스피는 전일 대비 20.38포인트(0.84%) 하락한 2398.48에 거래되었으며, 이는 작년 11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글로벌 증시와의 연관성 속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의 발언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4일(현지 시간), 파월 의장은 현재 미국 경제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음을 시사하며 “통화 정책을 신중하게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고, 특히 다우존스와 S&P500, 나스닥 지수 모두 0.5% 내외로 하락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은 글로벌 유동성을 줄이고, 이에 따라 신흥국 시장에 대한 자금 유입이 줄어들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 한국 증시의 고질적 문제와 외국인 자금 유출
국내 증시는 올해 글로벌 주요 시장 중 가장 부진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미국과 일본 증시가 호조세를 보이는 동안, 한국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불명예를 피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로, 이는 한국 증시의 허약한 체질을 여실히 드러내는 상황입니다. 외국인 자금 이탈은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될수록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밸류업’ 정책을 추진해왔으나, 그 효과는 미미했습니다.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내놓은 밸류업 프로그램이 반짝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상승 모멘텀을 유지하지 못하며 하락세로 돌아선 것입니다. 일부 상장사들이 부도덕한 행태를 보이며 투자자 신뢰를 저하시키고 있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최근 사례로는 밸류업 지수에 포함된 이수페타시스와 고려아연이 적절치 못한 공시와 유상증자를 단행해 주주들에게 실망을 안겼습니다.
| 외부 요인: 미중 경제 갈등과 환율 관찰 대상국 재지정
글로벌 경제 둔화와 더불어 한국 증시의 전망을 어둡게 만드는 요소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강화될 보호무역주의입니다. 미 재무부가 최근 한국을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다시 지정하면서 한미 간 경제 갈등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높은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대미 경상수지 흑자가 증가하면서 미 재무부의 감시 대상이 된 것입니다. 이는 한국 경제가 직면한 대외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전기차 세액공제를 폐지할 가능성을 검토 중이며, 이는 한국 자동차와 배터리 산업에 직접적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국내 전기차 제조업체들은 막대한 투자를 진행해 왔으나, 미국의 정책 변화는 이러한 투자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대안은 무엇인가?
현 상황에서 한국 증시가 다시 부상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합니다. 첫째, 정부의 밸류업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보다 명확한 기준과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단순한 슬로건에 그치지 않고,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더불어 참여 기업에 대한 실질적 혜택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 회복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주 친화적인 정책과 함께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기업 투명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완화하고 외국인 자금의 유입을 촉진하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한국 증시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대책보다는 지속 가능한 체질 개선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정책 당국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변화와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 관련기사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874424&plink=ORI&cooper=NAVER
[AI D리포트] 미국, 트럼프 취임 앞두고 한국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내년 1월 20일 취임을 앞두고 한미 경제관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한국을 다시 환율관찰 대상국으로 지정했습니다.
news.sbs.co.kr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57023
트럼프 2기 행정부 무역압박 ‘시동’...한국·일본 등 동맹국 긴장 - 인천투데이
인천투데이=김도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한국, 일본, 타이완 등 우호국을 상대로 보호무역 조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환율 관찰 대상국 재지정과 전기차 보조금 폐지 검토
www.incheontoday.com
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7455
병주고 약주고…美, 한국 환율관찰 대상 재지정 - 스트레이트뉴스
최근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 가운데 바이든 정부가 한국을 환율관찰 대상국 명단에 다시 올렸다. 미국과의 교역에서 한국이 미국의 10대 적자국인 상황에서 최
www.straightnews.co.kr
https://www.sedaily.com/NewsView/2DGURN07DQ
JP모건 '韓 증시 부진, 세계 경제 둔화 떄문…美 증시 추가 성장 가능성'
증권 > 국내증시 뉴스: 최근 국내 증시가 부진한 이유가 ‘세계경제 성장 둔화’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의 재선 확정...
www.sedaily.com
https://www.etoday.co.kr/news/view/2419725
[상보] 뉴욕증시, 파월 ‘추가 금리인하 신중론’에 하락...다우 0.47%↓
파월 “금리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발언10월 PPI, 상승폭 확대테슬라, 전기차 보조금 폐지설에 5% 넘게 급락▲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
www.etoday.co.kr
https://www.khan.co.kr/economy/finance/article/202411150714001
금리인하 신중론에 뉴욕 증시 일제히 하락··· 테슬라 ‘-6%’
미국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주가를 밀어 올리던 ‘트럼프 트레이드’의 힘이 빠진 데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금리인하 속도 조절을 시사하면서 하방 압력이 강해
www.khan.co.kr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11531656
트럼프 랠리 소강에 일제히 하락…테슬라 6% 급락 [뉴욕증시 브리핑]
트럼프 랠리 소강에 일제히 하락…테슬라 6% 급락 [뉴욕증시 브리핑], 파월 "기준금리 신중하게 내려야 할 가능성 높아"
www.hankyung.com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1113_0002957047
외면받는 한국 증시…말 뿐인 밸류업[기자수첩]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올해는 시장이 정말 힘들다"미국 증시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쓰고 있고 비트코인 가격 또한 역대 최고가를 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우리 증시는 바닥이 어디인지
www.newsis.c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400566639086048&mediaCodeNo=257&OutLnkChk=Y
[속보] 뉴욕증시 하락 마감…파월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14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하락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의 발언과 새로운 물가 지표에 영향을 받았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
www.edaily.co.kr
https://www.sedaily.com/NewsView/2DGUS19GK2?OutLink=nstand
코스피, 장중 2400선 붕괴…8월 블랙먼데이 이후 처음
증권 > 국내증시 뉴스: 코스피지수가 지난 8월 5일 '블랙먼데이' 이후 석달여 만에 장중 2400선이 붕괴됐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
www.sedaily.com
'김모씨가 본, > (5)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비트코인, 사상 첫 9만달러 돌파 : 기록적인 상승의 원인과 전망 (4) | 2024.11.13 |
---|
댓글